
🍸🍒🍹술, 그 영원한 로망🍸♥️
“꽃 사이에 술 한 병 놓고
벗도 없이 홀로 마신다
잔을 들어 밝은 달 맞이하니
그림자 비쳐 셋이 되었네”
중국 당나라 시선 이백의 시
<월하독작(달빛 아래서 홀로 술을 마시다)>
입니다.
고려시대 문인 이규보는 시 <화류>에서
“하늘이 나로 하여금
술을 마시지 않게 하려면
꽃과 버들이 피지 말도록 하여라” 라며
‘신이 주신 선물’ 인 술을 예찬하고 있습니다.
술이란, 알코올 성분이 1% 이상 들어있는 모든 기호 음료를 총칭합니다.
기원전 4500년경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상지인 티그리스 강 유역의 고대 수메르인들이 포도주를 처음으로 만든 이래, 술은 우리 인간들에게는 최고의 음식 중의 하나로 여겨져 왔습니다.
유럽의 목축문화는 포도주, 맥주, 벌꿀주, 위스키, 브랜디 같은 누룩을 사용하지 않은 술을 낳았고,
아시아의 몬순문화는 곰팡이를 이용해 술을 만들어, 유럽과 인상적인 대조를 이룹니다.
“한국인에게 술은 소울푸드(Soul Food)다.
문화적인 미각으로 마시고 감성으로 취하는 것이다. 술을 고를 때, 중요한 건 절대적인 맛이 아니라 거기에 얽힌 추억과 향수다.
한여름 불판 앞이라도 ‘삼겹살에 소주’ 가 정겹고,
비 오는 날엔 어김없이 ‘파전에 막걸리’ 가 떠오르는 것은 바로 문화적인 미각이, 소울푸드인 우리 술을 찾기 때문이다.” (김종호)
세계에서 가장 술을 잘 마시는 나라는 루마니아의 북동쪽에 있는, 집시음악으로 유명한
‘몰도바 공화국’ 입니다.
폭탄주와 술잔 돌리기로 유명한 대한민국은
1인당 술 소비량이 세계 11위 입니다.
술의 미학을 깨닫는 순간
술은 더 이상 괴로움을 잊는 수단이거나,
숙취로 인한 괴로움을 주는 존재가 아니라,
가끔씩 힘들때 기대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같은 존재로 다가올 것입니다.
술은 지적입니다.
심포지움(Symposium) 하면
엄숙하고 딱딱한 분위기를 연상하는데,
원래 심포지움이란 말은 그리스어 ‘함께(Sym)’ 와 ”술을 마시다(posium)’ 의 합성어로,
그리스인들이 식사후 술을 마시며 학문, 사상, 음악, 미술 등에 대해 허물없이 대화를 나눈 것을 뜻합니다.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 등 우리가 알고 있는 그리스 철학자들 명언 대부분이 술자리서 나왔습니다.
술은 사랑의 묘약입니다.
노르웨이는 갓 결혼한 부부가 한달 내내 벌꿀 술을 마시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젊은 남녀가 달콤한 술에 한 달 동안이나 취해 있었으니 사랑이 저절로 싹틈직 합니다.
오늘날 신혼여행을 허니문(honey moon) 이라 하는 것은 여기서 유래됐습니다.
술은 풍류, 즉 맛과 멋으로 즐겨야 합니다.
현대사회에서 술은 절묘한 절제의 미가 필요합니다. 술에 지나치게 집착하면 파멸을 부릅니다.
한국 속담에도 “처음에는 사람이 술을 마시다가 술이 술을 마시게 되고, 나중에는 술이 사람을 마신다” 는 말이 있습니다.
성경에서도 “술에 취하지 마십시오. 거기에서 방탕이 나옵니다. 오히려 성령으로 충만해 지십시오.” 라며 술로 인한 일탈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에베소서 5:18)
시인 폴 베를렌(프랑스, 상징주의의 거장으로 ‘비탄의 시인’ ‘랭보의 연인’으로 유명함)을 어둠의 끝까지 몰고 간 것은 당시 유행했던 압생트(absinthe) 란 녹색 술이었습니다.
압생트는 19세기 후반 유럽, 특히 프랑스 파리의 예술가들이 열광하던 술이었습니다.
베를렌, 랭보를 비롯한 시인들과 고흐, 모네 등 인상파 화가들, 피카소, 헤밍웨이 등도 이 술의 마력에 빠져들었다 합니다.
이 술이 예술가들에게 인기가 많았던 것은 환각을 일으켰기 때문인데, 드가는 이 술을 소재로 그 유명한 ‘압생트’를 그렸습니다.
알코올 도수가 70~80도에 이르는 독한 술로,
‘악마의 술’ ‘초록 요정’ 으로 불린 술입니다.
그러나 이 술의 마력이 예술적 혼을 불어 넣은 것만은 아니었으며 이 술은 결국 광기와 중독을 불러오게 됩니다.
1900년대 중반의 청록파 시인 조지훈도 술을 사랑한 문인인데, 그는 ‘주정도 교양’ 임을 강조하며 술을 많이 마시기 보다는 잘 마시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조지훈은 수필 <주도 유단> 을 통해 바둑처럼 주도의 단수를 매겨 놓았습니다.
등급을 18단계, 9단으로 나눕니다.
반주를 즐기는 사람은 2급에 불과하고,
애주의 단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초단,
퇴근 무렵 술 친구를 기다리는 사람이 2단,
술과 더불어 유유자적하는 사람은 7단,
열반주가 9단으로, 술로 인해 세상을 떠난 사람입니다.
낭만 넘쳐 흐르던 1950년대에 충무로의 술집
‘은성’에서 시인 박인환이 지은 시 <세월이 가면>은 극작가 이진섭이 즉석에서 곡을 붙여 더 유명해졌습니다.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어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ᆢ”
풍류를 즐길 때 술은 시가 됐고, 시대의 아픔을 이야기할 때 술은 소설의 소재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문학과 술은 불가분의 관계입니다.
술은 재료에 따라 곡주, 과실주로,
제법에 따라 발효주, 증류주로 나누입니다.
원료가 다른 만큼 맛과 향이 다르고,
마시는 목적도 다릅니다.
위스키가 취기를 느끼기 위해 마시는 술이라면, 브랜디는 잠시 향기를 간직하기 위해 마시는 술입니다.
“프랑스 남성들은 좋은 꼬냑이 한 병 생기면
6개월이 행복하고, 여성들은 좋은 향수를 한번 선물받으면 1년이 행복하다” 는 말이 있습니다.
여성이 향수 한 병을 1년동안에 걸쳐 몸에 살짝살짝 뿌리듯, 프랑스 남성들은 꼬냑 한 병을 무려 여섯달 동안에 걸쳐 홀짝홀짝 입속에 털어 넣습니다.
브랜디는 곧 ‘입속의 향수’이며 여성을 사귈때
‘반모금쯤 혀로 굴리며 향기를 남겨두는 술’ 로
많이 사용됩니다.
‘폭탄주는 간에 더 나쁘다’ 고 크리스데이 박사(영국 뉴캐슬주 소재 간 연구소)는 말합니다.
여러 종류의 술을 섞은 혼합주가 한 종류의 술을 마시는 것에 비해 간을 23배나 더 손상시키며,
똑 같은 종류의 양이라도 빈 속에 마시면 식사때 마시는 것보다 간 손상이 5배나 됩니다.
일반적으로 간 손상은 마신 술의 총량에 비례하나, 개인 차가 심하다 합니다.
이제 술이 남성의 전유물인양 치부하던 시대가 지났습니다. ‘술을 즐기는 시대인 요즘, 술의 트랜드는 여심을 사로잡는 것입니다.
영국의 철학자 러셀은 술에 취하는 것은 ‘소극적인 행복이며 불행의 일시적인 중지’ 라며 술의 존재가치를 옹호합니다.
술은 빛과 그림자가 공존하기에, 술을 건강하고 멋스럽게 즐길 수 있는 지혜와 슬기가 필요한 세상입니다.
- 지석기 –
🍷세월이 가면 – 박인희
https://youtu.be/25oXoRon05o
위의 글은 시니어 대화방에 ‘Jay’님께서 올려주신 글입니다.
[시니어월드 대화방]은 시니어분들이 자유롭게 대화하고 싶으신 분들의 방입니다.
재미난 이야기도 함께 나누고, 세상 돌아가는 소식들도 나누구요~
단, 카톡이 많이 올라오는 관계로 ‘카톡’소리가 거슬리시는 분은 꼭 ‘종’모양의 버튼을 눌러 ‘카톡’소리를 꺼주시면 됩니다.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 버튼을 눌러 조인하세요.
카톡방에서 ‘카톡’소리를 끄시려면 ‘석삼’자를 누르시고, 아래 종모양을 눌러 꺼주세요.

쇼셜서비스 또는 위의 칼럼에 대해 궁금한 것 등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궁금한 점 문의는, 카톡에서 ‘시니어월드’를 검색후 친구를 맺고, ‘하이’라고 인사말을 남기신 후 질문하세요.
또는 아래 양식을 작성하여 보내주시면, 성심껏 안내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