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각국이 코로나19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여행을 위해 ‘백신 여권’ 을 도입하자는 방안이 나와 추진 중이다.
특히 관광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일부 국가들은 여름 휴가 성수기를 맞아 더욱 디지털 백신 여권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7일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다른 나라들과 코로나19 백신 접종의 상호 인증을 논의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워싱턴포스트(WP)는 7일(현지시간) 그리스와 스페인이 유럽연합(EU)에 디지털 백신 여권을 도입해 출입국 제한을 낮출 수 있도록 촉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미 일부 국가들은 제도 도입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영국에서는 ‘백신 접종증’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은 최근 체육관과 음식점 등을 출입하기 위한 디지털 백신 접종증을 발급하기 시작했다.
이스라엘은 또 그리스와 사이프러스 등 EU 국가와 사전에 협의해 격리를 면제하는 ‘트래블 버블’을 시험적으로 실시키로 합의했다. 사이프러스는 오는 5월부터 백신을 접종한 영국민은 자유롭게 입국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EU 집행위원회는 회원국 내부는 물론 더 나아가 EU 외부 국가까지 백신 여권을 도입해 왕래를 자유롭게 하는 방안을 이번 달 제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WP가 전했다.
다만 백신 여권을 어떤 형태로 발급할지는 불확실하다. 이스라엘처럼 조작이 어려운 QR 코드 방식도 검토 대상이다.
백신 접종 비율도 제각각인 EU에서 공통분모를 찾아낼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프랑스와 독일과 같은 국가에서는 이를 도입할 경우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시민을 차별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백신 여권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면서도 백신 접종률이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접종한 여행객을 우대하는 것은 당장 추진할 계획이 없다고 설명했다. 프랑스 역시 백신을 맞겠다는 비율이 절반에 그쳐 독일과 유사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소수 인종이나 임신부, 또는 백신 접종 후순위인 젊은층, 디지털 기계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층이 불이익을 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디지털 백신여권을 제작하면 여행객의 동선을 파악해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사회복지 (쇼셜서비스) 또는 위의 칼럼내용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으신가요?
궁금한 점 문의는, 카톡에서 ‘시니어월드’를 검색후 친구를 맺고, ‘하이’라고 인사말을 남기신 후 질문하세요.
또는 아래 양식을 작성하여 보내주시면, 성심껏 안내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