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관절염의 종류[편집]
분류 | 세부 분류 | 증상 |
급성 관절염 |
장액성 관절염 |
외상에 의해서 나타난 관절염. 원인불명의 것도 있지만 대개 하나의 관절에만 발생한다. |
장액섬유소성 관절염 |
급성관절류머티즘 때에 일어나는데, 관절강 내에 혼탁한 삼출액이 괸다. 이후 염증이 가라앉아도 심한 운동장애를 남긴다. | |
화농성 관절염 |
관절의 개방창 또는 임질, 장티푸스, 성홍열, 패혈증 같은 전염병에 다발성을 보인다. 생후 1~2개월 유아는 뼈가 심하게 상하여 치료할 수 없는 탈구를 일으킨다. 성인의 경우에는 골막골수염에 걸려 화농부가 터져 고름이 관절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1] | |
만성 관절염 |
특수성 관절염 |
결핵성,매독성 또는 중년 이후의 남자에 많은 요산대사 장애로 인한 통풍성 관절염. |
다발성 관절염 |
만성 관절류머티즘에 의한 것이 많은데 급성장액성 관절염에서 이행되거나 결핵, 매독, 임질의 경과 중에 다발성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패혈증의 하나인 경우도 있다. | |
변형성 골관절염 |
뼈나 관절의 노화, 외상이 원인. | |
혈우병성 관절염 |
혈우병을 앓을 때 관절 내의 출혈에 의한 것. | |
류마티스성 관절염 |
자가 면역질환이다. 심해진다면 항암제(!)까지 복약해야 할 수도 있다. 자세한 것은 류마티스 관절염 문서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