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세상에 스마트폰을 안 쓰는 사람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스마트폰 그리고 와이파이 (WIFI) 없이는 생활이 힘든 세상이 되었다.
심지어는, 시니어들까지도, 하다못해 카톡으로 메세지를 보낸다던지 혹은 유튜브로 각양각색의 정보와 오락거리들을 접한다. 또는 인터넷신문으로 세상돌아가는 소식을 접하며, 세상과 소통한다.
처음에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작동법이 힘들게 느껴지지만, 조금만 다루어보면 위에 언급한 간단한 것들은 손쉽게들 하시는 경우를 종종본다.
그래서, 앞으로 시니어월드USA에서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대한 좋은 정보를 시니어분들께 드리고자 노력하겠다.
오늘은, 와이파이 (WIFI) 두번째 이야기이다.
오디오 파일을 클릭해서 들어보시길 바란다.
궁금한 점 문의는, 카톡에서 ‘시니어월드’를 검색후 친구를 맺으셔서, 질문하세요.
또는 아래 양식을 작성하여 보내주시면, 성심껏 안내해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아래에는, 위키백과 사전의 내용을 발췌하였다.
참고하시길 바란다.
와이파이 (WIFI)는 전자기기들이 무선랜(WLAN)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주로 2.4 기가헤르츠 (12센티미터) UHF 및 5 기가헤르츠 (6센티미터) SHF ISM 무선 대역을 사용한다. 무선랜은 일반적으로 암호로 보호되어 있지만, 대역 내에 위치한 어느 장치라도 무선랜 네트워크의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도 가능하다.
와이파이 얼라이언스는 와이파이를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802.11 표준에 기반한 모든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제품으로 정의하고 있다.[2] 와이파이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상표의 하나이다. Wi-Fi Certified 상표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상호운용 인증 테스트에 완전히 합격한 와이파이 제품에만 사용할 수 있다.
와이파이 (WIFI)기술을 사용하는 장치에는 개인용 컴퓨터, 비디오 게임 콘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태블릿 컴퓨터,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현대의 프린터가 포함된다. 와이파이 호환 장치들은 WLAN 네트워크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핫스팟)는 실내에서는 약 20 미터(66 피트)의 대역을, 실외에서는 이보다 더 큰 대역을 가진다. 핫스팟 지원 범위는 무선파를 차단하는 벽이 있는 작은 방으로까지만 지원될 수 있고, 여러 액세스 포인트를 겹쳐 사용함으로써 수 제곱 킬로미터로까지 확대할 수 있다.
와이파이는 이더넷과 같은 유선 연결 보다 덜 안전한 편인데, 이는 침입자가 물리적인 연결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TLS를 사용하는 웹 페이지들은 안전하지만 암호화되지 않은 인터넷 접속은 침입자들에 의해 쉽게 발견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와이파이는 다양한 암호화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초기 암호화 WEP은 쉽게 뚫릴 수 있었다. 더 높은 품질의 프로토콜(WPA, WPA2)들이 나중에 추가되었다. 2007년에 추가된 선택적인 기능인 와이파이 보호 설정(WPS)은 공격자가 라우터의 암호를 알아낼 수 있게 하는 심각한 결함이 존재하였다.[3] 그 뒤로 와이파이 얼라이언스는 테스트 계획 및 인증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여 새롭게 인증된 장치들이 공격에 저항할 수 있도록 보증하고 있다.